비기너라면 긍정적 피드백만 수용하는 게 좋다. 도움이되는 비판일지라도 자라나는 새싹을 밟아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. 하지만 어느 정도 반열에 올랐다면 비판을 달게 받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.
모든 비판을 수용할 필요는 없다. 하지만 비판 자체를 차단하면 발전을 도모할 수 없다. 특히 아마추어에서 중급자 정도가 되면 고집이 생기는데, 이때 얼마나 비판에 귀 기울이냐에 따라 실력이 도약한다.
스스로 '이 정도면 꽤 괜찮은 실력이다.'라고 여겨질 때가 가장 위험하다. 우물 안에서 긍정적 피드백에만 심취하기 쉽고, 부족한 점을 자신의 스타일이라고 착각하기 쉬운 타이밍이다. 이때 비판에 귀 기울지 않고, 부족한 점에 대한 질문을 멈추면 발전도 멈춘다. 비난은 비판으로부터 분별하되, 비판이라면 수용하는 태도를 갖춰야 한다.
'에세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에세이] 결국엔 원론적인 이야기를 하게 되는 이유 (0) | 2020.10.24 |
---|---|
[에세이]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려면 가져야 하는 한 가지 능력 (0) | 2020.10.13 |
[에세이] 어른이(어른+어린이)가 팀워크를 낼 수 없는 이유 (0) | 2020.10.12 |
[에세이] 현상 유지만 하자는 마인드를 버려야 하는 이유 (0) | 2020.10.06 |
[에세이] 혼자 연습하는 시간이 핵심적인 차이를 만들어내는 이유 (0) | 2020.09.29 |